Relationship between public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Published: by Creative Commons Licence

  • Categories:

Relationship between public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블록체인(blockchain)은 신뢰성을 담보해줄 제 3자 없이도 신뢰성 있는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탈중앙화된(decentralized) 원장 시스템이다.

그렇다면 신뢰성은 어떻게 보장되는 것인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의 경우 노드(node) 간의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을 통해 신뢰 기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마이너(miner, 노드)들이 Proof-of-Work(PoW)에 의해 마이닝(mining)을 해줌으로써 신뢰 네트워크를 형성해준다. PoW는 일을 많이 한 마이너에게 보상을 주는 합의 알고리즘이다. 일이란 해쉬값 상위 비트에서 0의 개수를 맞출 때까지 계산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리해보면 PoW 기반 퍼블릭 블록체인은 마이너들이 많은 컴퓨팅 자원을 써주면서 신뢰 기반 네트워크를 유지해주는 구조이다.

그러면 왜 마이너들이 굳이 많은 컴퓨팅 자원을 소모하면서까지 마이닝을 하는 것일까? 마이닝을 통해 보상받는 코인 때문이다. 암호화폐가 경제적 가치를 가져야 하는 이유이다. 암호화폐가 경제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마이너들이 마이닝을 하는 것이고 마이닝 덕분에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유지되는 것이다. 만약 비트코인이 경제적 가치를 잃게 된다면 퍼블릭 블록체인의 신뢰 기반 네트워크는 무너지게 된다.

이더리움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실행시킬 수 있는 탈중앙화된 플랫폼이다. 이더리움은 이더리움에 형성된 블록체인의 신뢰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개발을 지원해준다. 이더리움 기반 서비스(DApp) 개발을 위해서라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은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결국 암호화폐 거래소가 폐쇄되면 퍼블릭 블록체인의 기반이 흔들리게 된다는 의미이다. 적어도 암호화폐를 통한 보상 구조를 탈피하여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해줄 수 있는 획기적인 합의 알고리즘이 실현되기 전까지는 블록체인 발전을 원한다면 암호화폐 거래소는 유지되어야 한다.